PHILOSOPHY 3

요가수트라 강독 –배철현

프롤로그부터 부드러운 언어이다. 솔솔 따스한 바람처럼 읽힌다. '인간을 변화하지 않는 종교는 사실상 이데올로기에 지나 않는다.' -바라봄의 시선이 남 다르다. -이데올로기_어떤 사물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구체적인 사고나 생각, 본래의 한자 문화권에서 이 단어는 이념보다는 '생각'의 의미가 강한 단어였는데 서구 ideology의 번역어로 차용되어 쓰이게 되었다. ideology : 어떤 개인이나 사회 집단이 인간, 자연, 사회에 대해 규정짓는 추상적이면서도 이념적인 의식의 형태. 이념이나 사상으로 번역할 수 있다. 현대에서는 정치이념을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. 이 때문에 사회학을 비롯한 인문학의 전문 서적에서 이데올로기가 '최종적으로 타파되어야 할 상부구조로 뜻할 경우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의미가 아니라 마..

01.과학 문명비판의 대안

공부하는 요즘 정리. - 인도안어와 고전 18C후반 유럽 본격적 소개 인도문학 주목,다른 말로 유럽학자들덕에 인도철학과 인도학 주목받기 시작. 20C후반 두거장 다스굽타/라다크리슈난 두 거장이 선도한다. 다스굽타의 '요가철학' 집필하였으나 [요가의ㅡ사상사적 가치에 주목 이것을 조명하는것에 주목. 에서 요가의 교의 는인도의 사상 中 다른 어느 학파의 교의와도 비교하거나 대조하거나 비교할 때 큰이점을 가지고 있다.단언. 인도신비주의 는 다스굽타가 노스웨스턴대학에서 여섯차례에 걸쳐 강의. 다스굽타의 열변은 정승식교수님 책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교수님 설명에 100년전 과학문명폐단과 육체의 안락에 탄식했디라는 부분을 다시 집어 주시는데 이마를 탁-때린다. 다스굽티는 대안도 제시한다. 바로 이다. 집고 넘어가..